티스토리 뷰

Google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여러 제품들을 서비스하고 있다. Chrome, Google Calander, Google Drive, Google Docs, Gmail 중 하나 이상은 대부분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회사에서는 G suite를 이용하여 회사 도메인을 관리하고 있다. 그래서 회사 도메인의 구글 계정이 존재하며 회사에서 사용하는 구글(G suite) 제품들은 회사 계정으로 이용하게 된다. 이외에도 나는 '아주 개인적인 개인 계정', '비교적 덜 개인적인 개인 계정', '개발 관련 계정' 등 여러 구글 계정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하는 구글 계정이 많다 보니 불편한 점이 있었다. 바로 회사 계정으로 구글 서비스를 이용할 때이다.

 

회사에서 간단한 미팅은 Google Meet을 이용한다. 빠르게 링크 하나 만들어서 Slack 등의 메신저로 공유하면 끝이기 때문에 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하고 있는 구글 계정이 많다 보니 이 링크를 클릭하면 개인 계정으로 해당 미팅에 참여하기 때문에 항상 번거롭게 회사 계정으로 변경해주는 작업을 해야 한다.

 

이게 너무 불편해서 개인적으로는 크롬 창을 2개를 띄워서 사용했다. 크롬은 구글 웹페이지뿐만 아니라 크롬 자체에도 여러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그래서 개인 계정으로 로그인된 크롬 창 하나와 회사 계정으로 로그인된 크롬 창 하나를 띄워서 사용했다.

 

만약, 메신저로 Google Meet 링크를 공유받았을 때, 이를 클릭하면 default로 설정되어있는 개인 계정으로 링크를 열게 된다. 따라서, 개인 계정으로 연 링크를 회사 계정으로 변경하거나, 링크를 클릭하지 않고 복사하여 회사 계정의 크롬 창에 붙여 넣어서 링크를 열곤 했다. 

 

그러나, 이제 크롬 창 하나로 상황에 맞게 계정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멋진 방법을 찾았다!


Tempermonkey!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이다. 이는 크롬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자바스크립트를 실행시킬 수 있다. (링크)

 

설치 후, 옵션에서 + 버튼을 눌러 스크립트를 추가한다.

 

그럼 스크립트 에디터가 열리게 되는데 이곳에 우리가 원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저장하면 된다.

(저장은 cmd+s로 할 수 있다.)

 

// ==UserScript==
// @name         Google Meet User Chooser
// @version      0.0.1
// @description  Choose user on Google Meet
// @author       Junhui Kim <junhuikim.dev@gmail.com>
// @match        http://meet.google.com/*
// @match        https://meet.google.com/*
// @grant        none
// ==/UserScript==

(function() {
    if (!window.location.href.includes("authuser=6")){ //autheruser=1 describes the account, if you have multiple acc's change this to whatever # your school acc is
        var newUrl = window.location.href + "?authuser=6";
        window.location.replace(newUrl);
    }
})();

나는 위와 같은 스크립트를 작성했다.

 

@match 문을 이용하여 meet.google.com으로 시작하는 링크를 열 때 해당 스크립트가 동작하게 했다. 그리고 만약 링크에 'authuser={value}'와 같은 쿼리 파라미터가 없다면 이를 뒤에 붙여서 리다이렉트 한다.

 

여기서 authuser는 현재 구글에 로그인된(정확히는 로그인되어있거나, 로그아웃 혹은 세션이 만료되었지만 계정 정보는 남아있는) 계정의 index를 가리킨다. 나는 총 7개의 구글 계정이 있고 그중 마지막 7번째 계정이 회사 계정이다. index가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7번째 계정의 authuser 값은 6이다. 

 

구글에서 우측 상단의 프로필 아이콘을 클릭했을 때 나오는 계정의 순서가 authuser의 값이 된다.

 

정리하면, meet.google.com 가 열릴 때, url에 authuser=6 (회사 계정)이 없다면 이를 붙여준 url로 리다이렉트 하여 자동으로 회사 계정의 Google Meet을 열게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무궁무진하게 사용해볼 수 있을 것 같은데,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더 찾아봐야겠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